2025년 청년 자산 형성을 위한 필수 금융 상품
청년 희망적금이란?
청년 희망적금은 정부가 저소득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운영하는 비과세 적금 상품입니다. 매월 일정 금액을 적립하면 정부에서 저축 장려금을 추가로 지급하고, 이자 소득에 대해 비과세 혜택도 제공합니다.
2025 청년 희망적금 2기 개요
- 모집 기간: 2025년 6월 10일(화) ~ 6월 21일(토)
- 운영 은행: 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등 11개 시중은행
- 가입 기간: 2년 만기 상품
- 적립 방식: 월 최대 50만 원 자유 적립식
가입 조건
아래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가입할 수 있습니다.
- 연령: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1990.1.1 ~ 2006.12.31 출생자)
- 소득 기준: 총급여 3,600만 원 이하 (연 소득 기준)
-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 아님
- 2023년 또는 2024년에 희망적금 1기 가입자는 2기 신청 불가
우대 혜택 및 지원 내용
항목 | 내용 |
---|---|
이자소득 비과세 | 이자소득세(15.4%) 면제 |
저축장려금 | 2년간 총 36만 원~72만 원 차등 지급 |
복리 이자 | 금리 + 정부 추가 지원금 포함 실질 금리 상승 효과 |
신청 방법
- 사전 신청: 2025년 6월 3일부터 6월 9일까지 모바일 앱으로 신청 대상 여부 조회
- 본 신청: 해당 은행 모바일 앱 또는 인터넷뱅킹을 통해 계좌 개설
- 매월 50만 원 이하 자유 적립 방식 선택
- 만기 도래 시 적금 원리금 + 정부 장려금 지급
※ 사전 신청 없이 본 신청은 불가능합니다.
이용자 주의사항
- 중도 해지 시 정부 장려금 지급 불가
- 1인 1계좌만 가입 가능
- 기존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중복 가입은 가능하나 정부 장려금 중복 수령 불가
자주 묻는 질문 (FAQ)
- Q. 소득 기준을 초과하면 자동 탈락되나요?
→ 네, 국세청 연계 소득 기준 초과 시 신청이 불가합니다. - Q. 가입 후 매월 50만 원을 못 넣어도 되나요?
→ 네, 자유 적립식이라 금액은 자율이지만 장려금은 적립액에 비례합니다. - Q. 중간에 해지하면 불이익이 있나요?
→ 정부 장려금은 지급되지 않으며, 비과세 혜택도 일부 회수됩니다.